728x90
반응형
복시(겹쳐 보이는 현상)는 단순 안과 문제뿐만 아니라 뇌질환과도 깊은 관련이 있어요.
1️⃣ 뇌질환이 생겼을 때도 복시가 나타날 수 있나요?
➡️ 네, 나타날 수 있어요!
복시는 눈 자체 문제일 수도 있지만, 눈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나 신경이 문제일 경우에도 생깁니다.
✅ 복시와 관련된 대표적인 뇌질환
뇌질환설명
뇌졸중(뇌경색, 뇌출혈) | 뇌신경(특히 3, 4, 6번 뇌신경)이 영향을 받으면 눈 근육 조절이 안 되어 복시가 생김. 보통 갑자기 발생하고 다른 신경 증상(어지럼, 마비 등) 동반 가능 |
뇌종양 | 종양이 뇌신경이나 뇌줄기(중뇌, 교뇌)를 압박할 경우 복시 발생. 진행성일 경우가 많음 |
다발성 경화증(MS) | 시신경염이나 뇌신경 염증으로 복시가 동반될 수 있음. 젊은 층에서도 종종 나타나요 |
뇌동맥류 | 특히 3번 뇌신경 눌리면 눈꺼풀 처짐과 복시가 동반될 수 있음 |
중증 근무력증(신경근 접합부 질환) | 피로하면 증상이 심해지는 복시 + 안검하수 |
외상성 뇌손상 | 두부 외상 후 뇌신경 손상으로 복시가 생길 수 있어요 |
2️⃣ 뇌질환으로 인한 복시 증상은 어떻게 진단하며, 어떤 검사가 필요한가요?
뇌에서 원인을 찾으려면 정확한 진단이 필수입니다!
✅ 진단 과정
- 병력 청취
- 갑자기 생겼는지?
- 어느 방향으로 볼 때 복시가 심한지?
- 다른 신경 증상(어지럼, 마비, 감각 이상, 언어 문제 등) 동반 여부
- 신경학적 검사
- 눈 움직임 검사 (안구 편위 확인)
- 동공 반응, 시야검사
- 다른 뇌신경 기능 확인
- 안과 검사
- 굴절이상, 안구 내 질환 감별 (안과 협진 자주 필요)
✅ 필수 검사
검사목적
MRI (뇌 + 뇌간) | 종양, 뇌졸중, 다발성 경화증 등 신경계 병변 확인 |
CT (필요 시) | 급성 뇌출혈, 외상성 병변 확인 |
MRA / CTA | 뇌혈관 질환(동맥류, 혈관기형) 확인 |
혈액검사 | 감염, 염증, 자가면역 질환 감별 |
전기생리검사 | 중증 근무력증 의심 시 |
시야 검사, 안저 검사 | 시신경 이상 여부 확인 |
3️⃣ 뇌질환으로 발생한 복시 치료법과 치료 기간은?
복시 치료는 원인에 따라 완전히 달라요!
✅ 대표적인 치료법
원인치료법
뇌졸중 | 혈전용해술, 항응고제, 재활치료 → 급성 치료 후 보상적 안경(프리즘), 수술적 교정 가능 |
뇌종양 | 수술적 제거, 방사선치료, 항암치료 → 복시 지속 시 시야 교정 |
다발성 경화증 |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 + 면역조절제 |
뇌동맥류 | 코일색전술 또는 클리핑 수술 → 뇌신경 압박 해소 후 회복 가능성 |
중증 근무력증 | 항콜린에스터라제 약물, 면역억제제, 플라즈마 교환술 |
외상성 뇌손상 | 보존적 치료 + 안구 근육 수술, 프리즘 안경 |
✅ 치료 기간은?
- 뇌졸중이나 외상 후 복시는 수주~수개월 내 회복이 가능하지만 일부는 영구적으로 남을 수도 있어요.
- 다발성 경화증, 중증 근무력증은 만성 관리가 필요해요.
- 뇌종양이나 동맥류의 경우 수술 이후 증상이 빠르게 호전될 수도 있고, 몇 개월 걸리기도 해요.
👉 치료 기간은 뇌신경 손상 정도, 원인 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정말 많이 달라요.
때로는 프리즘 안경이나 복시를 줄이는 시각 재활치료가 병행돼요.
728x90
반응형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초제가 토양을 더 깊게 파괴하는 메커니즘 (0) | 2025.03.19 |
---|---|
식품첨가물의 위험성,식품첨가물은 식품의 맛, 색, 향, 보존 등을 위해 넣는 물질 (0) | 2025.03.19 |
세포막의 주 성분인 레시틴은 세포막 보호와 뇌 건강, 간 기능 개선에 아주 중요한 영양소 입니다.레시틴이 풍부한 음식 추천 (0) | 2025.03.18 |
단백질 영양보조식품 선택시 확인해야할 부분,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는 작은 단위로 구성, 최적화 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. (0) | 2025.03.18 |
자기 전에 뭔가 먹고 일어났더니 얼굴이 부어있다면..이런 음식 피하세요 (0) | 2025.03.18 |